죽어도 못보내팀 WBS 바로가기 ⬇️
1-1. 주제
<aside> 📌 HR Data를 활용한 퇴사 예측 모델 구현
Kaggle의 ‘IBM HR Analytics Employee Attrition & Performance’ 데이터를 활용해 퇴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HR Data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통해 인사담당자들에게 인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지표 개선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aside>
1-2. 주제 선정의 배경
이미지 출처 : 잡코리아
22년 말, 구인구직 플랫폼 ‘잡코리아’는 ‘이직을 RESPECT’한다는 광고를 선보였다. 이는 구인구직 플랫폼의 주 타겟층이 취준생에서 이직(퇴사)을 준비하는 직장인으로 확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생직장’이라는 말이 구시대적으로 느껴지는 지금, 이 광고를 통해 우리는 이직, 퇴사가 첫 직장을 구하는 것만큼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시대상을 볼 수 있다.
출처 : https://www.asiae.co.kr/article/2022072616513391421
통계청에 따르면 22년 5월 기준 청년층의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은 1년6.8개월이다. 첫 직장으로 임금근로 일자리를 얻은 15~29세 청년층의 65.6%는 졸업 후 가진 첫 일자리를 그만뒀다. 취업플랫폼 사람인이 21년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1년 이내 조기퇴사자'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49.2%는 'MZ세대의 조기퇴사율이 높다'**고 답했다. 20·30세대들이 퇴사를 결심하는 이유로는 '더 좋은 회사로의 이직 준비'(20대 56.3%, 30대 55.7%)가 가장 많았다.
이미지 출처 : https://www.saramin.co.kr/zf_user/help/live/view?idx=108748&listType=news
이미지 출처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memberNo=24090434&volumeNo=6470527
이러한 상황은 기업 인적자원(HR) 담당자 입장에서 큰 고민거리이다. 조기퇴사자의 증가로 인한 다양한 손해가 있지만 금전적 손실이 특히 크다. 커리어테크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499개사를 대상으로 ‘직원 채용 시간과 비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직원 1인 채용에 평균 32일, 1,272만원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013년 발표한 대졸 신입사원 1인당 교육 비용은 평균 5960만원이다. 최문석 한국경영자총연합회 경제조사2팀장은 “교육비용에는 신입사원이 업무 역량을 본격 발휘할 때까지 지급된 월급도 포함된다”며 “조기 퇴사가 늘어나면 기업의 손실도 그만큼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